본문 바로가기

[마이라이트] 경제신문리딩챌린지

[마이라이트] 경제신문리딩챌린지_3주차 (3/17 월)

- 마이라이트 pick기사 읽고 분석하고 해설과 비교하기

 

< 기사 분석 >

[한국경제] 동전 한 닢도 없다, 서울 한복판에 뜬 '캐시리스 은행'

 

[단독] 동전 한 닢도 없다, 서울 한복판에 뜬 '캐시리스 은행'

[단독] 동전 한 닢도 없다, 서울 한복판에 뜬 '캐시리스 은행', '현금 없는 점포' 등장 디지털 전환에 현금 사용 줄자 부산은행, 업계 최초 시범운영 iM뱅크도 '캐시리스' 전략 추진 ATM도 3년새 4400

www.hankyung.com

 

 

A. 기사요약

- 서론: 은행을 상징하는 현금 금고가 사라진 캐시리스(cashless)은행이 서울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부산은행이 구로디지털금융센터점과 성수동금융센터를 시범 운영 중에 있다)

- 본론: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현금 사용량이 줄어듦에 따라 도입된 캐시리스 은행은 현금이 아예 없으며 고객은 디지털로 업무를 처리하고 창구는 일종의 상담센터로 운영 된다. 

- 결론: 

현금 사용량이 줄면서 ATM또한 급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은행은 동전 교환 업무를 주2회 오전으로 제한하는 등 운영 전략을 새로 세우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우체국에서 시행하는 현금 배달 서비스가 있다. 

 

B. 용어정리

- 어음: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치를 것을 약속하거나 제삼자에게 그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 

 

- 유가증권:

 사법상 재산권을 표시한 증권. 권리의 발생, 행사, 이전이 증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음, 수표, 채권, 주권, 선하 증권, 상품권 따위가 있다.

 

C. 나의 일상/ 사회적으로 끼칠 영향

-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연령대의 사람들은 아마 이런 변화가 불편하지 않을까 싶다가도 현금을 이제 거의 쓰지 않는 스스로만 보아도 이런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 강사님 기사 해석 >

A. 기사요약
- 서론:
 디지털 전환과 현금 사용 감소로 서울에 현금을 취급하지 않는 '캐시리스 은행'이 등장했다. 부산은행은 시범적으로 '캐시리스' 점포를 운영 중이며, iM뱅크도 유사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 본론:
 부산은행은 서울 구로디지털금융센터와 성수동금융센터를 캐시리스 점포로 운영하고 있으며, 창구에서는 현금 거래가 불가능하다. 현금 금고에는 서류만 보관되고, 고객은 디지털 방식으로 모든 업무를 처리한다. iM뱅크도 현금 없는 점포 전략을 채택하며, 디지털 업무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현금 사용 감소에 따라 ATM 기기도 급감하고, 우체국에서는 현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있다.

- 결론:
 현금 사용이 줄어들고 디지털 거래가 대중화되면서, 은행들은 점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위한 '캐시리스' 전략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현금 사용자들의 불편과 금융 소외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


B. 용어정리
- 캐시리스: 현금 거래 없이 디지털 결제나 카드, 모바일 결제 등 비현금 거래만 이루어지는 시스템

- 유가증권: 주식, 채권 등 금전적인 가치를 지닌 증서나 문서


- 수표 (Check): 수표는 일정 금액을 특정한 사람이나 기관에게 지급하겠다는 약속이 담긴 금융 문서
* 예를 들어,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특정 은행에서 금액을 지급하겠다고 서명한 후 이를 받는 사람이 은행에서 돈을 인출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현금 대신 사용되며, 대개 은행을 통해 처리됩니다.


- 어음 (Promissory Note): 어음은 일정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는 금융 증서

 * 어음은 수표와 비슷하지만 주로 상업 거래에서 사용되며, 수표는 은행을 통한 지급을 의미하는 반면, 어음은 개인이나 기업 간의 채무관계를 나타냅니다.

-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은행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계, 주로 현금인출, 입금, 송금 등을 처리

- 비대면 거래: 직접 만나지 않고 온라인, 전화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거래 방식



C. 나의 일상/ 사회적으로 끼칠 영향
※ 긍정적인 영향
- 편리한 거래: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활용하면 카드나 모바일 앱을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결제를 처리할 수 있고 현금을 소지하거나 ATM에서 돈을 뽑을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어 편리하겠다.
- 보안 강화: 현금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이 줄고, 카드와 같은 디지털 결제 시스템은 보안이 강화된 시스템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져, 거래가 투명하고 안전할 것 같아!
- 효율적인 관리: 디지털 결제는 거래 내역이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지출 관리가 더 쉽고 효율적이어서 예산을 계획하거나 지출을 추적하는 데 유리하겠어.

※ 부정적인 영향
- 디지털 소외: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지 않거나, 기술적 접근이 어려운 사람들, 특히, 노인이나 저소득층,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인 사람들은 디지털 결제 방식에 적응하기 어려워서 소외계층이 될 것 같아.
-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디지털 거래는 개인정보와 결제 정보가 수집되기 때문에,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이 발생할 경우 개인 정보가 노출되서 오히려 더 큰  위험이 있겠군.


 



비교 후 피드백

- 물론 바로 확 발전하긴 쉽지 않겠지만 생각을 좀 더 넓게 확장시켜보자...!